해피데이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메뉴 닫기
  • 글작성
  • 방명록
  • 환경설정
    • 분류 전체보기 N
      • 생활에 필요한 여러가지 정보 N
      • 영어 문법 공부해 보자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영어 문법 공부해 보자

문장의 종류에 따른 수동태

오늘은 3 형식, 4 형식, 5 형식, 의문문, 명령문에 대한 수동태를 알아보겠습니다. 3 형식, 5 형식은 목적어가 1개라서 수동태가 하나이지만, 4 형식은 간접목적어, 직접목적어로 목적어가 두 개이므로 수통태도 두 개가 됩니다. 3 형식의 수동태 : 3 형식이 수동태가 되면 1 형식이 됩니다. ● He broke the window. ↓ The window was broken by him. (그 창문은 그에 의해서 부서졌다.) 4 형식의 수동태 : 4 형식 문형은 목적어가 두 개이므로 수동태도 두 개가 됩니다. 수동태가 될 때 나머지 목적어는 그 자리에 그냥 남게 되는데 이를 보류목적어라 합니다. 1.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 - 이때의 수동태는 3 형식이 됩니다. ● She gave me t..

2023. 7. 7. 16:54
영어 문법 공부해 보자

태의 종류, 수동태의 시제

동작 동사가 있는 대부분의 영어 분장은 능동태로 쓰입니다. 그러나 일부 능동태 문장의 어순을 변경하여 수동태의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. 주어가 동사에 의해 동작될 때 문장은 수동태로 쓰입니다. 태의 종류 1. 태의 뜻 : 주어와 목적어에 대한 타동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사의 형태를 말합니다. 2. 태의 종류 ● 능통태 (Active Voice) : 동작을 하는 주체(행위자)가 문장의 주어가 되는 문장. ● 수동태 (Passive voice) : 문장의 주어가 다른 것에 의해 어떤 동작을 받게 되거나 당하는 표현의 문장. 수동태의 시제 : 수동태의 동사의 기본형은 「be동사 + 과거분사」입니다. 이때 능동태의 동사에 따라 수동태의 be동사가 변화합니다. 1. 현재형 수동태 : 「 am(are, is) ..

2023. 7. 6. 16:22
영어 문법 공부해 보자

조동사 ought to, need, dare, used to 용법

오늘은 준조동사 ought to, need to, dare to, used to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준조동사란 몇 개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의미를 표현하는 동작 덩어리를 만들면서 특정 단어가 마치 조동사의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. [ Ought to ] 1. 의무, 당연 (= should) ● He ought to obey his parents. (그는 그의 부모님에게 순종해야 한다.) 2. 확실한 추측 (미래의 추측) : '당연히 ~일 것이다.'의 뜻 ● He ought to succeed, for he is always hard-working. (그는 당연히 성공할 것이다, 왜냐하면 그는 근면하기 때문이다.) * for : 접소사로 '왜냐하면 ~이니까'의 뜻 3. 과거에 대한..

2023. 7. 5. 17:36
영어 문법 공부해 보자

조동사 should의 여러가지 용법

오늘은 조동사 should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should는 문장 속에서 너무 여러 가지 뜻으로 쓰여서 예문을 많이 봐두지 않으면 영문장을 해석할 때 당황할 수도 있습니다. 잘 익혀두세요. [ should ] 1. 의무, 당연 : ~해야 한다. ● Children should obey their parents. ( 아이들은 그들의 부모에게 순종해야 한다.) 2. 이성적 판단 : It is 다음에 necessary, important, proper, natural, possible, impossible, right, good, well, wrong, rational 등이 오면 종속절에 should를 씁니다. (should를 해석하지 않음 : 생략가능) ● It is natural that he (sh..

2023. 7. 4. 20:46
영어 문법 공부해 보자

조동사 must, would(will, shall의 특수용법)

오늘은 조동사 must와 would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must는 주로 의무나 당연한 추측을 나타내고, would는 주로 소망이나 과거의 불규칙적인 습관을 나타냅니다. Must 1. 필요, 의무 : must + 의지동사 = have to ● You must do as you are told. (너는 네가 들은 대로 해야 한다.) ● You must keep your promise. (당신은 당신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.) ● You must go there. (당신은 거기에 가야 합니다.) = It is necessary that you should go there. 2. 당연한 추측 : must + 무의지 동사 ① 현재의 추측 : must be ● He must be ill. (그는 아픈 게 틀림없..

2023. 7. 3. 16:15
영어 문법 공부해 보자

조동사 can(could), may(might)

오늘은 조동사 can, may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can은 주로 능력과 가능, 허가와 요청, may는 주로 추측, 허가를 나타냅니다. 조동사 Can, Could 1. 능력, 가능 : ~할 수 있다. ● I can play the guitar. (나는 기타를 칠 수 있다.) ● I can't play the guitar. (나는 기타를 칠 수 없다.) 2. 허가 : ~해도 좋다. : = may, 단 can이 may보다 더 구어적인 표현임 ● You can go out. (당신은 외출해도 된다.) ● Can I go swimming? (제가 수영하러 가도 되나요?) 3. 금지 : ~해서는 안된다. ● You cannot tell a lie. (당신..

2023. 7. 2. 15:24
  • «
  • 1
  • ···
  • 26
  • 27
  • 28
  • 29
  • 30
  • 31
  • 32
  • ···
  • 34
  • »
반응형
애드센스 광고 영역
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© 해피데이 All rights reserved. TistoryWhaleSkin3.4

티스토리툴바